운영 체제 통신의 종단점이다. 네트워크 서비스나 특정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논리 단위이다.
하나의 서버가 웹페이지를 전달해주는 역할, 파일을 요청하는 역할이 있다고 가정하고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낼때, 웹페이지 요청 인지 파일 요청 인지 구분하기 위해 Port가 사용됩니다.
하나 컴퓨터의 통신을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이 다수일 때 프로그램을 구별할 수 있는 번호가 포트 입니다.
포트는 숫자 0 ~ 65535 까지로 표현되며, 크게 3 가지로 아래의 표 처럼 분류됩니다.
port | description |
0 ~ 1023 | 잘 알려진 포트 (well-known port) |
1024 ~ 49151 | 등록된 포트 (registered port) |
49152 ~ 65535 | 동적 포트 (dynamic port) |
자주 사용되는 포트
port | protocol | use |
20 | FTP | 데이터 전송 포트 |
21 | FTP | 제어 포트 |
22 | SSH | ssh/sfpt 같은 프로토콜 및 포트 포워딩 |
23 | Telnet | 암호화되지 않은 텍스트 통신 |
25 | SMTP | 이메일 전송 |
53 | DNS | DNS 간의 동기화 |
80 | HTTP | 웹 페이지 전송 |
110 | POP3 | 메일 읽기 |
123 | NTP | 시간 동기화 |
443 | HTTPS | TLS/SSL 방식의 웹페이지 전송 |
513 | Syslog | 시스템 로그 전송 |
ex) 웹페이지 요청 과 이메일 전송 요청
SSH 터널링 (Tunneling) 이해하고 사용하기 (0) | 2024.06.03 |
---|---|
포트 포워딩 (Port Forwarding) 이란 ? (0) | 2024.05.29 |
로드밸런싱 (Load Balancing) 이란 ? (0) | 2024.05.16 |